인공지능 관련주가 최근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정부의 ‘한국판 뉴딜’ 정책과 연관성이 높은데, 한국판 뉴딜정책이란 코로나19 사태 이후 경기 회복을 위해 마련된 국가 프로젝트다. 디지털 인프라 구축, 비대면 산업 육성 등이 주요 내용이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AI(인공지능) 기술 발전 속도 역시 빨라지고 있다. 미국 시장조사업체 CB인사이트에 따르면 세계 AI 특허 출원 건수는 2015년 1만1210건에서 2019년 2만3349건으로 5년 새 두 배 이상 증가했다. 국내에서도 삼성전자·LG전자·SK텔레콤·KT 등 대기업들이 앞다퉈 AI 개발에 나서고 있다.
AI란 무엇인가요?
AI는 Artificial Intelligence의 약자로 인간의 지능 활동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실현한 기술입니다. 즉, 사람처럼 학습하고 추론하며 판단하는 논리적인 사고능력을 갖춘 컴퓨터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2016년 알파고가 이세돌 9단을 꺾으면서 대중에게 널리 알려지기 시작했습니다.
국내 기업 중 AI 분야에서 앞서가는 기업은 어디인가요?
최근 몇 년 동안 글로벌 IT기업들을 중심으로 AI 투자가 활발하게 이뤄지면서 구글, 아마존, 애플, 페이스북, 마이크로소프트 등 상위 10개 기업이 전체 AI 특허출원의 60%가량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2018년부터는 중국 화웨이가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하면서 현재는 4위 수준까지 치고 올라온 상황입니다. 특히 화웨이는 2020년 상반기에만 약 1500건의 AI 특허를 출원했는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40% 가까이 늘어난 수치입니다. 또한 지난 6월 발표된 가트너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까지 AI시장 규모가 연평균 32%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2024년에는 7700억달러(약 865조원)규모로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부 주도하에 AI기술개발이 진행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4차 산업혁명 시대 도래 및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경제사회 전반에 걸쳐 변화가 가속화되면서 새로운 일자리 창출뿐만 아니라 기존 일자리 감소 문제가 대두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1년~2025년까지의 제3차 인공지능 연구개발 종합계획을 수립하였습니다. 본 계획은 △데이터 댐 △디지털 트윈 △스마트 의료인프라 △국민안전 확보 △미래선도형 융합연구 혁신 플랫폼이라는 5대 전략분야를 설정하고 총 18개 과제를 추진함으로써 2025년까지 최대 11만개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인공지능주식이 오르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미래 먹거리 사업이자 포스트 코로나 시대 유망산업인 만큼 관심있게 지켜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